둔내 지역은 구석기~초기 철기시대의 유적뿐만 아니라 통일신라와 고려 시대의 고분 등 많은 유적, 유물이 발견되어 수만 년 전부터 인류가 생활하였던 유서 깊은 역사의 고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둔내면이라는 지명은 둔창(屯倉)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둔창이란 둔전(屯田)에서 수확되는 곡식을 저장하는 곳으로 둔내면 둔방내리에 둔창이 있었다. 언제 설치되었는지 확실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일반적으로 둔전(屯田)은 고려 후기에 설치되어 조선시대에 성행하였으므로 둔방내리의 둔전도 고려 말, 조선 초기에 설치되었을 것이다. 전설에 의하면 둔내면 둔방내리 둔창에서는 주민에게 매년 양곡 300섬 씩을 대여하였데 그 규모가 당시로서는 상당히 컸음을 알 수 있다. 사람들은 둔창이 있는 곳이라 하여 둔창내(屯倉內)라 부르다가 발음상의 편리를 위해 창(倉) 자를 빼고 둔내(屯內)라 부르게 된 것이 그대로 굳어져 면명을 둔내면이라 칭하게 되었다.
연도 | 내용 |
---|---|
1906년 | 법률 제20호 발표에 의거 행정 명칭을 「둔내면」이라 칭함 |
1910년 | 정식 면장 임명, 면사무소를 현천리에 둠 |
1912년 | 둔내면을 11개리로 둠 (종전 군곡리가 없어지고 두원리가 신설됨) |
1917년 ~ 1927년 | 면사무소를 자포리에 둠 |
1958년 | 11개리 124개반으로 편성 |
1973년 | 11개리에서 13개리로 증가 (영랑리 일부를 안흥면에 편입, 안흥면 궁종리와 갑천면 신대리 일부를 둔내면에 편입) |
1979년 | 태기리를 삽교3리에 편입(법정리는 종전대로 존재) |
2001년 | 현재 둔내면은 행정25개리, 법정13개리 102개반으로 편성되어 있음 |
둔내면은 횡성군 동부 산간지대에 위치한 면으로 북위 37°30′30″, 동경 128°12′33″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북쪽으로 평창군 봉평면, 서쪽으로는 갑천면과 우천면, 남쪽으로는 안흥면, 북쪽으로는 청일면과 홍천군 서석면 일부 지역이 접하고 있다. 동서남북으로 태기산(1,261m), 청태산(1,200m), 수리봉(896m), 덕고산(705m) 등 많은 산들이 위치해 있다. 주천강은 태기산에서 발원하여 대체로 둔내의 중앙부를 흐르며 그 좌우에 크고 작은 들판을 형성, 옥토를 이루어 둔내의 곡창지대를 이룬다. 기후는 기온차가 심한 대륙성기후이고, 지형적인 영향으로 강수량이 다른 곳보다 비교적 많으며, 평균기온이 낮아 식물 생육기간이 짧은 고랭지 기후를 나타내어 고랭지 채소 및 야채류 재배에 적합하다.
지명 | 유래 |
---|---|
현천리(玄川里) |
|
둔방내리(屯坊內里) |
|
영랑리(永浪里) |
|
조항리(鳥項里) |
|
우용리(右用里) |
|
두원리(斗元里) |
|
자포리(自浦里) |
|
석문리(石門里) |
|
삽교리(橋里) |
|
마암리(馬岩里) |
|
화동리(禾洞里) |
|
궁종리(弓宗里) | 이 마을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활같이 생긴 꼬불꼬불하게 생긴 곳을 지나간다는 이유와 태기왕이 군사들을 훈련하던 활터로 사용한 데서 연유됨 |
25264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둔내로51번길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