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 산업의 개념
- 6차 산업화란 1차 산업(농업·농촌)을 중심으로 각 산업(2차, 3차) 과의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개념임
- 6차산업화는 농업생산, 농산물 가공, 농촌관광 등 생산과 서비스의 단순한 집합(1차+2차+3차=6차 산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각 산업의 유기적이고 종합적인 융합(1차×2차×3차=6차 산업)을 의미함
6차 산업의 발전 유형
6차 산업화는 각 단계별 산업의 중심 및 시발점으로부터 어떻게 발전하는가에 따라 그 유형을 구분할 수 있음
- 기본적 유형은 1차 산업에서 출발하여 2차 농산물 가공, 3차 서비스·관광으로 발전하는 유형
- 가공 중심형은 2차 산업인 농산물 가공 등에서 출발하여 원료를 공급하는 1차 산업과 도농교류 등의 3차 산업으로 발전하는 유형
- 서비스 중심형은 지역자원을 활용한 도농교류나 체험 등의 3차 산업에서 출발하여 1차 산업과 2차 산업으로 발전하는 유형
자료 : 강원발전연구원 정책메모(제371호, 농업의 6차산업화와 강원도)